본문 바로가기

청년 정책24

~부산의 청년 정책 알려드림~ 2024 청스티벌 지난 26일에는 부산시에 거주하는 청년층이 생활에 혜택을 누릴 만한 특화 정책들을 알리는 페스티벌,2024 청스티벌이 부산청년센터 만날마루에서 열렸습니다! 행사가 진행되는 3층으로 올라가니 센터 입구에 축제를 알리는 홍보대가 서서 청년들을 맞이했습니다.  제가 청년센터를 방문한 제1의 목적은 한 지역청년 커뮤니티의 소셜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것이었어요.건강한 식습관에 관해 각자의 생각과 의견을 나누어 보고 준비된 키트를 활용해 함께 요리한 음식을 나누어 먹는 시간을 가졌습니다.다이닝 공간은 바다를 면하고 있어 창밖으로 내다보이는 경치가 멋진 곳이었어요.조리대가 창가에 배치되어 있어 요리를 하면서도 바깥 풍경을 이따금씩 바라보며 감상헸답니다~ 건강 요리를 체험하러 공유 주방에 모인 인원은 사회자를 포함 8명.. 2024. 11. 1.
부산의 청년 활동장소 방문기 - 〈3〉 청년창조발전소 디자인스프링편 청년정책 관련 정보와 소식을 전하는 활동대원으로서,이 지역의 청년 한 사람으로서,이 도시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누릴 수 있는 혜택과 이용할 수 있는 활동 공간을이것저것, 이곳저곳 찾아다니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를 통해서는 부산진구에 위치한 청년공간인,청년창조발전소 디자인스프링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디자인스프링 지소는 동의대 지하철역에서 동의대 가야캠퍼스로 가는 길목 한적한 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여러 갈래로 교차하는 골목길을 지나야 해서 해당 위치를 찾는데 헤맬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총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규모가 제법 큰 건물입니다.전면 외관을 사진에 모두 담기 위해서 카메라 각도를 기울이니그 앞을 지나는 무수한 전선들이 전경을 가리는 점이 아쉬웠습니다.흐린 날씨로 인해서 원색을 충실히 표현.. 2024. 10. 11.
청년정책 서포터즈 아카데미 - 홍보가 뭔지 알려주마! 새 포스트에는 청년 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청년정책 홍보지원단의 특강 소식을 가져왔습니다.부산청년센터에서 펼쳐진 이번 강연은 홍보 방법과 전략에 관한 내용을 주제로 기획되었는데요. 유튜버로 변신해 돌아온 KBS 공채 개그맨 조충현 님이 일일 강연자가 되어 주셨습니다. 무려 89만 구독자를 자랑하는 인기 유튜버라고 하네요~  참가 신청자 명부에 서명을 하고 나면 요아정을 한 그릇씩 나눠주었어요.부산청년센터 만날마루의 객석을 가득 메운 청년 참여자들이 보이시죠? 모두들 요아정 요거트 하나씩을 앞에 두고 귀를 기울이고 있네요~ 두 가지 과일과 초코볼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룬'요'거트 '아'이스크림 한 보울을 카메라로 담아보았어요굉장히 신선해보이네요~    행사를 준비해온 주임님이 사회자로 나서 인사말을.. 2024. 10. 7.
2024 청년 주간의 시작을 알리는 '큰울림' 9월 21일 청년의 날 기념식을 시작으로 부산 전역에서 이번 기념일을 축하하며미래로 도약할 청년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행사가 열렸습니다. 축제 현장을 자세히 전하기에 앞서 청년의 날과 청년 주간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의 날청년의 권리보장과 청년의 발전 중요성을 알리고,청년 문제에 관심을 고조시키기 위해 9월 세 번째 토요일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함. 청년 주간청년의 날로부터 1주일간  2024 청년의 날은 당일로부터 7일간을 청년 문화에 초점을 맞춘청년 주간으로 확대해 지내게 되었습니다.  기념식이 열린 집결 장소는 낮보다 밤이 더 화려한 밀락더마켓! 젊은이들의 활기가 느껴지는 그곳으로 정해졌습니다~  개회 전에 도착해서 부산청년센터 부스 운영 준비를 돕는 역할을 하며행사에 참가한 .. 2024. 10. 4.
부산 시장 청년 정책을 놓고 지역 청년들과 답을 찾다 두끼 떡볶이 김관훈 대표를 모시고 청년의 경제 활동 영역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던2차 토크쇼에 이어 제 3차 토크는 지역 청년이 삶의 고민을 자유롭게 꺼내놓고해결책을 논의하는 자리를 만들기 위해 KBS 부산 방송총국에서 기획한청년 토크 프로그램 총 3부작 중 마지막 편이다.   마지막 회차에 초청된 이는 시의 운영을 총괄하시는 박형준 부산시장님!나는 2회차 토크에 참석하고 난 뒤로 다음 회 참여를 내심 확정짓고 있었다.한 가지 이유는 대부분 강연 형식으로 연설을 듣고 난 후 총체적인 결론을 내리는데 반해지극히 개인적이고도 사소한 문제까지도 꺼내어 질문할 수 있는 격의 없는 자리여서였다.다른 하나의 이유는 지역의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일의 최고 책임자 역할을 맡은 수장은지역의 현안에 대하여 어떠한 견해.. 2024. 9. 29.